과거 반차오의 고성 - 방차오 고성과 사대사당 탐사하기
인기 1956
타이완의 옛 성지를 논하면,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화면은 타이난 푸청, 타이베이 푸청, 헝춘셴청등의 성지가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정부의 복원을 거친 성지는 오늘날까지 성문 또는 일부 성곽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어떤 곳은 지에윈 역의 이름(타이베이 지에윈 베이먼역, 시먼역, 동먼역)이 되기도 하였으며, 당대 타이완 사람들의 공통된 기억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작금의 신베이시 수도인 반차오구에도 오래된 성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지에윈 푸중역부터 임가화원까지 이르는 길에서, 세심한 관광객이라면 이 동네의 가로등은 특별히 고풍스럽다는 걸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 위에는 <방차오 고성>이라는 글자도 있고, 고개를 숙여 바닥을 보면 보도블럭 위에 <고성지계>라는 글자도 있습니다. 그래요. 과거 푸중 일대에는 고성이 있었답니다. 이 방차오 고성에는 타이베이성과 같이 5개의 성문이 있었는데, 모두가 잘 아는 타이베이성보다도 더욱 유구한 역사를 자랑합니다. 이 성지를 세우게 된 데에는 반차오 임가와 장천 난투극이라는 두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시간은 청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타이완에서는 장천 난투극이 빈번히 일어났는데, 본적을 장주에 두고 있는 반차오 임가에서 천주사람들의 습격을 방어하기 위하여 1855년에 자체적으로 방차오성을 구축하였습니다. 오늘날의 반차오구 시먼가, 베이먼가, 난먼가와 관첸시로 안쪽 정도의 범위로, 일제시기 교통시설을 건설하면서 철거되었습니다. 그러나 지방의 사당을 통해 아직까지도 고성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판교 자혜궁
방차오 고성 동문에 위치한 츠훼이궁은 반차오 지역에서 가장 흥성한 마주사당으로, 사당 안팎에는 오리고 붙이거나, 조각을 하거나, 색칠을 하는 방식으로 꾸몄으며, 대들보와 기둥의 조각과 그림은 매우 화려하고 세밀합니다. 츠훼이궁은 또한 반차오 지구에서 재물운을 비는 사당으로, 반차오 임가등 현지의 거부들이 모두 츠훼이궁의 신도였습니다. 잘 찾아보면 임가의 상호가 새겨진 용주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지예윈쓰
제윈스와 다중먀오는 방차오 고성 서문에 위치한 사당으로, 그 역사는 장천난투극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중먀오는 반차오 신사들이 난투극에서 숨진 장주사람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다중예를 모시는 사당입니다. 그 옆의 제윈스는 관음보살을 모시는 곳으로, 전신은 중허의 츠윈옌스이며, 나중에 난투극이 벌어지며 화재로 소실된 후 반차오 제윈스가 그 향불을 이어가게 되었습니다. 제윈스는 진귀한 현판과 영련도 보유하고 있으며, 정전의 지붕 양측에는 금박을 씌운 비천선인 목각상도 상당수 존재합니다. 조정(장식을 한 중국식 천정)은 특수한 긴 타원형으로 디자인되어 역사 및 종교적 가치가 상당합니다.
디이탕
사대사원 중 유일하게 시지정 고적으로 지정된 디이탕은 반차오 임가에서 전사한 우스와 딩융을 위해 세운 곳으로, 원수사원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2021년 개보수를 마치고 예약제를 통해 참관할 수 있습니다. 내부의 문신 그림과 기린 프레스코벽화는 모두 사당회화의 명인인 신베이 문화상 수상자인 차이룽진 선생님의 손에서 탄생하였습니다.
다음 번에 반차오를 방문하여 임가화원을 둘러보게 되면, 걷는 속도를 좀 늦추고 보도블럭의 글자를 따라 천천히 과거의 성곽과 사원 속에 남아있는 세밀한 회화와 공예를 감상하며,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탐험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